회원 가입에는 이메일 주소 외에 어떤 신상 정보도 필요하지 앟습니다.
똥개네집 통합검색
편집자 광장
책마을 소식
진로 상담
출판실무 Q&A
예비편집자 공부방
강의실
참고자료
비평적 산문
출판칼럼
매체 비평
인물론 & 인터뷰
사적 진술
주목을 바라는 글
저작목록
똥개와 수다떨기
일상 속 단상
퍼온글 모음
노출광의 일기
똥개를 소개합니다
똥개의 즐겨찾기

  매체 비평  Media rewview & preview
책, 영화, 방송 등 다양한 매체에 대한 장르비평을 올려두겠습니다.
이 게시판의 게시물은 인터넷을 이용하여 자유롭게 배포할 수 있으나, 반드시 출처를 밝혀야 합니다.
단, 영리/비영리 목적을 막론하고 고형물(인쇄물, CD 등)의 형태로 복제하여 배포하려면 운영자의 사전 승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시면 댓글 작성이 가능합니다.
[책] 책으로 세상을 꿈꾸다
작성자 똥개

‘계몽의 시대’가 지났다는 전언조차 어느새 식상한 상투어구가 되어버린 지 오래지만, 책은 여전히 ‘계몽’의 매체이다. 지금 이대로의 세상이 누구나에게 그런 대로 살 만한 세상이어서 누구도 더이상 다른 세상을 꿈꿀 필요가 사라진 것이라면 혹시 모르겠지만, 사람이 오늘보다 더 나은 내일의 삶을 꾀하고 그것을 위해 자신과 다른 사람들의 삶을 조건짓는 세상이 조금이라도 더 나아지기를 꿈꾸는 한 책은 사람들 사이에서 그 꿈을 매개할 수밖에 없다.

일찍이 시의 존재 근거는 ‘있는 세상’과 ‘있어야 할 세상’ 사이의 긴장이라고 갈파한 시인도 있었지만, 이것이 비단 시에만 한정될 수 있는 말일까. 무릇 궁극적으로 읽히기 위해 씌어지는 모든 글이 ‘있는 세상’으로부터 ‘있어야 할 세상’을 꿈꾸는 과정에서(만) 탄생할 터이며, 그 무수한 꿈들을 실어나르는 책의 존재 근거 또한 거기에 있을 터이다. 나아가 출판쟁이의 편협한 시야에 얽매이지 않고 공정하게 말하자면, 책뿐 아니라 그림이나 음악, 영화 등 인간의 창조 행위들이 모두 그러할 것이다. 다만 책을 만드는 자들은 책을 통해 그 일을 할 뿐이다. 편집자는 ‘책으로’ 세상을 꿈꾼다.

하지만 그것은 결코 자기만족을 위한 것이 아니다. 책은 그 책을 읽는 사람으로 하여금 편집자가 그 책을 통해 꿈꾸고 있는 세상과 같은 세상을 꿈꾸게 한다. 그것이 왜 저자의 꿈이 아니라 편집자의 꿈이냐고 반문하는 것은 어리석다. 저자의 꿈에 공명한 편집자가 없다면, 그 꿈은 독자에게 공명이 이루어질 기회조차 얻지 못하고 사장될 것이기 때문이다. 모든 책은 편집자가 자신이 꿈꾸는 것과 같은 세상을 꿈꾸는 저자를 발견하는 데서부터 출발한다. 이것을 일러 출판계에서는 ‘기획’이라고 하던가.

이미 세 권의 책으로 묶여 나온 ‘기획자노트 릴레이’ 시리즈는, 그래서 편집자들이 ‘꿈꾸는‘세상’을 담은 기록일 수밖에 없다. 100명의 편집자가 있다면 거기에는 100가지의 서로 다른 ‘꿈’들이 있거니와, 이미 출간된 90명의 꿈들에 이제 30명의 꿈들을 덧붙여 네 번째 묶음을 출간한다.


앞선 세 권의 책과 마찬가지로 이 책에도 다양한 이력의 편집자들의 삶과 꿈이 어우러져 있어 한몫에 싸잡기는 조심스럽지만, 대체로 앞선 책들에 비해 필자들의 면면이 한결 젊어졌다. 물론 생물학적인 연배를 말하는 것은 아니다. 활자조판(또는 대지조판) 시대의 눅진한 질감이 묻어나는 글도 드물지 않게 섞여 있기는 하지만, 전체적으로는 1990년대 후반 이후에 출판계에 첫발을 들여놓은 경력 10년 안팎의 편집자들 비중이 높다. 다분히 제조업스러운 분위기 속에서 상대적으로 긴 시간에 걸쳐 천천히 자신만의 꿈을 내면화할 수 있었던 이전 세대와는 달리, 이미 본격적인 ‘기획출판의 시대’가 활짝 열려 긍정적인 의미에서든 부정적인 의미에서든 처음부터 전쟁 치르듯 채 여물지 않은 꿈이라도 서툴게나마 외화하며 성장해갈 수밖에 없었던 환경에서 탄생한 아주 소중한 열매들이다.

그래서 이 시리즈의 어느 책에도 어울렸음직한 <책으로 세상을 꿈꾸다>라는 제목을, 앞선 세 권의 책이 아니라 하필 이 책에 붙인 것이 더욱 의미심장한 울림을 자아내기도 한다. 이토록 다양한 꿈들이 어느 하나 위축되거나 심지어 퇴출되지 않고 조화롭게 공존할 수 있는 건강한 출판 생태계를 위해 모두의 노력이 그 어느 때보다 간절히 요구되고 있다.

발표지면 <책으로 세상을 꿈꾸다> 서문
단행본수록 미수록
대상 <책으로 세상을 꿈꾸다>, 한국출판마케팅연구소, 2009
목록